코칭의 핵심스킬 중의 하나가 강력한 질문하기이다. 특별히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코칭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발견하고 정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다. 코칭이슈를 탐구한 후에, 코칭의 목표를 세우기 위해 어떤 질문들을 할 수 있을까? 업무의 목표를 설정하는데, 코치이의 목표를 세우는데 다음의 질문들을 십분 활용해보자 [ 문제점의 명확화 ] 1. 오늘 프리젠테이션에서 고객의 반응이 별로였던 것 같은데, 자네는 어떻게 생각하나? 2. 기대에 미치지 못한 원인으로 생각나는 것이 있는가? 3. 자, 준비단계부터 살펴보도록 하지. 4. 어느 정도 부족했나 5. 시간이 없었다는 것 때문에 어떤 점이 충분하지 않았다고 생각하나? [ 깊이 알아가기 ] 6. 그렇군, 그래서? 7. 예를 들면? 8.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어떤 점이? 9. 그것에 관해 좀더 구체적으로 말해주겠는가? 10. 시간이 없었다는 말이군. 급한 일이 생겼는가? 그렇지 않으면? 11. 그러면 어느 정도 시간이 더 있었다면 좋았을 것 같은가? [ 브레인 스토밍 ] 12. 생각나는 대로 되도록이면 많은 아이디어를 내보게. 13. 우선 전부 도출해 볼까? 14. 직감으로도 좋으니까 말해보게. 15. 아무리 시시한 것이라도 괜찮으니까 말해보게. [ 좁혀나가기 ] 16. 그러면 지금 낸 것들을 3가지로 정리해 볼까? 17. 5개 정도로 정리할 수 없을까? 18. 그것을 3개로 할 수 없을까? 19.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하나를 고른다면? 20. 긴급한 정도로 본다면? 21. 실행 가능성에서 본다면? 22. 자신이 마음에 드는 정도로 본다면? [ 가능성의 확대 ] 23. 우선 ~는 잊어버리고 자유롭게 생각해 볼까? 24. 시간의 제약을 생각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완성할 수 있을까? 25. 시간의 제약을 생각하지 않는다면 이후 몇 군데나 더 돌아볼 수 있겠나? 26. 비용이 제약을 생각하지 않는다면 어떤 것을 만들고 싶은가? 27. 몇 명이라도 사람을 쓸 수 있다면 1주일 안에 가능한가? 28. 만약 자신에게 ~ 기술이 있다면? 29. 1개월 연장하는 것이 무리라면, 1주일 연장하는 것으로 거기에 가까이 갈 수 있을까? 30. 20퍼센트 노력을 늘린다면 그 제약만큼을 만회할 수 있지 않을까? 31. 그것은 정말로 그 기술이 없다면 전혀 할 수 없는 일인가? [대결] 32. 이 상황을 그대로 둔다면 어떻게 될 거라고 생각하나? 33. 실행하지 않았을 때의 나쁜 점은 무엇일까? 34. 만약 있다고 한다면, 어떤 것이 자네의 가능성을 좁히고 있는 것 같나? 35. ‘~하지 못했습니다’라고 계속 말하면 이득이 있는가? 36. 자신이 변명하지 못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? 37. 진심으로 이야기하고 있는가? 38. 정말로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? 39. 그것을 달성하고 싶다는 강한 의지가 있는가? 40. 자네의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좀더 노력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 것처럼 들리는데, 어떤가? [목표의 명확화] 41. 그러면 ~ 이라는 것에 관해 더 얘기해 보자. 42. 그러면 ~ 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얘기로 더 계속해서 나가볼까? 43. 지금까지 이런 목표를 세우는 것으로 대화가 잘 이루어진 것 같은데, 어떻게 생각해? 44. 이 테마로 대화를 계속 나누고 싶은데 괜찮은가? 시간을 더 내줄 수 있을까? 출처 : 비즈니스를 성공으로 이끄는 코칭 대화기술 – 이토 아키라 지음 / 김경섭 옮김 / 김영사 |
출처 : 도현파파
글쓴이 : 도현파파 원글보기
메모 :
'유익한 정보 > 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- 지금 이 순간이 가장 소중한 때입니다 (0) | 2009.07.29 |
---|---|
[스크랩] 코칭 리더쉽?? (0) | 2009.04.23 |
[스크랩] 인간관계와 코칭 리더십 (0) | 2009.04.23 |
[스크랩] 리더쉽의 기본 경청 (0) | 2009.04.23 |
[스크랩] 부하 직원을 신나게 만드는 리더십 (0) | 2009.04.23 |